자유게시판

EBS 위대한 수업이 제작비가 없어 못만들 수 있다니..

작성자 정보

  • 용띠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에라이 자유총같은데 지원할 돈 있음 EBS에 줘라..

 

요약하자면 제작비 없으니 스스로 콘텐츠 팔아서 수익내 제작

 

하려고 했으나 수익이 안나서 못만든다..

 

에라이 무슨 런닝맨이냐? ㅡㅡ

 

 

 

17013817701661.jpg

 

EBS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위대한 수업’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국비 일부를 지원받아 제작비 매칭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위대한 수업’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지원받는 방발기금 제작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다 보니 EBS가 자체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국평원의 국비 지원 역시 매번 입찰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제작·편성 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구조다.

 

EBS는 수익을 내기 위해 위대한 수업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별도 사이트를 구축했지만, 국내 포함 전 세계 100개 국가의 유료 구독자 수는 2,001명에 불과한 수준이다.

 

허 CP는 “강연 하나 하나 빛나도록 만드는 게 생존 전략”이라며 “국내 전문가들이 촬영 내용을 검증하고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는 CG(컴퓨터그래픽)와 자막 제작 등 석학 1명당 후반 작업만 3개월, 섭외부터 본방송까지는 9개월이 걸린다”라고 설명했다.

 

가짜 정보의 홍수 속에 당대 최고의 지식을 무료로 전하는 위대한 수업의 공익성에 해외 석학들도 놀라움을 표시한다. 시즌3 출연자인 하워드 가드너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이 지식 콘텐츠 사업의 선두에 있다”고 단언했고, 지난 시즌에 나온 ‘민주주의 연구의 거장’ 아담 쉐보르스키 뉴욕대 교수는 “한국의 납세자들이 존경스럽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저출산 학령 인구 감소와 수신료 분리징수 여파에 따른 EBS 경영위기로 ‘적자 프로그램’ 눈총도 커지고 있다.

 

위대한 수업의 시즌(1년) 제작비는 웬만한 지상파 드라마 제작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환율이 치솟으면서 체감 제작비는 더 쪼그라 들었다. TV수신료의 진정한 가치를 보여준다는 시청자들의 끊이지 않는 칭찬이 제작진에게는 가장 큰 힘이다.

 

두 PD는 이번 시즌이 ‘롱런’(장기적인 흥행)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 시대의 위대한 지적 유산을 기록하는 방송을 만들고 싶어요. 목표는 살아남아 시즌10까지 가보자는 것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4,401 / 465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