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판

보이스피싱 책임 묻기로 하자 달라진 은행들... 한달간 910건 막고 21억원 지켰다

작성자 정보

  • 민트아이스크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7037606434312.jpg



내년부터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가 발생했을 때 금융당국이 은행에도 일부 책임을 묻기로 하자 은행들이 달라졌다. 은행들은 11월 한 달에만 보이스피싱 등으로 의심되는 910건의 거래를 미리 알아채 20억원이 넘는 피해를 막은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KB국민, 신한, 하나 등 19개 은행과 비대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 시행 및 자율배상기준 이행을 약속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내년 1월 1일부터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에 따른 자율배상을 실시한다. 신청 대상은 제3자가 이용자 동의 없이 전자금융거래를 실행해 금전적 손해를 일으킨 보이스피싱 등 비대면 금융사고다.

피해가 발생한 계좌의 은행에 배상 신청이 가능하고 사고조사, 책임분담기준에 따른 배상비율 결정, 배상금액 지급 순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애초 이용자 중과실로 간주했던 신분증 노출, 악성앱 설치에 대해서도 배상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이용자가 개인정보(신분증 사진·계좌 비밀번호 등)를 휴대전화에 저장하거나 사기범에게 제공한 경우에는 피해배상이 제한적으로 이뤄진다.

책임분담기준 시행이 임박하자 은행권은 FDS 고도화에 나섰다. 금감원에 따르면 일부 은행은 지난달 FDS 탐지 룰을 적용해 910건의 이상거래를 탐지해 약 21억원의 피해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본인인증을 강화해 ‘유출된 개인정보로 대포폰을 개통한 뒤 자동응답시스템(ARS)·문자메시지로 본인확인을 우회하는 수법’을 차단하는 예방사례가 증가했다.

금감원은 제2금융권도 금융사고 예방·자율배상에 동참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후략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226500228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83,507 / 5412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