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장기투자가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작성자 정보

  • 자유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7000434651121.jpg
 

미국 개별 기업들의 기간별 투자 수익률입니다. 


위에서 순서대로 1달 / 1년 / 5년 / 10년 보유시 수익률입니다. 


어떤가요?  일반적인 상식과는 반대이죠?  오히려 장기투자할수록 수익률이 좌측(0%이하)로 치우쳐 집니다.


심지어 한국 주식도 아닌 "장기투자는 미국에서하는거라고" 그렇게 칭송하는 미국 주식입니다 


왜그럴까요?


같은 자산이지만 주식시장이 부동산과 다른이유는 4%가  캐리하는 시장이라 그렇습니다.


즉 Snp500이 연 10% 오르지만 4%의 소수 기업들은 수백배 수천배 수만배 오르며 슈퍼캐리를 하고 나머지 96% 떨거지 기업들은 아무리 오래 투자해봤자 오히려 예금이자보다 못합니다


이거는 미국시장 통계지만 한국, 유럽, 중국 등 모든 주식시장 다 똑같습니다


장기투자는 5년후 10년후 이 기업의 주당순이익(EPS)가 어떤어떤 이유로 꾸준히 복리로 늘어날 것 같은 기업에 하는게 장기투자이입니다. 무지성으로 대기업이니 10년 넣어보면 좋지않겠어? 이건 장기투자가 아닙니다.  


밸류 계산도 해야하지만 그만큼 기업의 비지니스 모델을 봐야하니 어렵고요. 기업이 10년후에도 계속 승승장구한다는 근거와 믿음이 없으면 올랐다 좀만 흔들려도 팔거나 혹은 주가 2배만 올라도 못견디고 팔아버리겠죠. 슈퍼캐리하는 4%내의 기업을 골라서 장기보유 할 수 있다면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올릴거고요.


하지만 나머지 대다수 96%의 그저그런 기업을 골라 장기투자했다면 예금이자보다도 못할겁니다. 그래서 소수의 특출난 사람들 빼고는 대다수의 사람에게 장기투자로는 인덱스(지수) 투자를 추천하는 거고요. 주거용 부동산도 인덱스펀드 성격이 있기 때문에 수도권에서 부동산 해서 망한 사람은 없다는거랑 똑같죠(물론 주거용입니다. 토지나 상업용은 개별주식이랑 비슷)



관련자료

댓글 1
profile_image

uberjam님의 댓글

  • uberjam
  • 작성일
손절타이밍 놓치고 졸지에 강제 장투?
전체 74,545 / 4604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